본문 바로가기

Pest Control (셀프방역)

반려동물 벼룩 발생 원인과 셀프 방역 없애는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프레이르입니다.
오늘은 반려동물에서 자주 보이는 벼룩의 특징과 제어 방법을  포스팅하겠습니다.
벼룩(Flea)은 분류학적으로 곤충강(Class Insecta)-벼룩 목(Order Siphonaptera)에 속하며, 세계적으로 239 속 2,500여 종이 기록되고 있고 그중 94%가 포유동물을 흡혈하는 종이고 기타는 조류에 기생하는 종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한국에는 현재까지 5과 37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고,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벼룩 종은 비교적 소수 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벼룩은 매우 제한적으로 숙주 기호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쥐벼룩과의 열대 쥐벼룩이 흑사병의 매개체로 중요시 되고 있습니다.

벼룩성충

[벼룩의 형태적 특징]

  1. 성충 : 성충은 체장이 약 1 ~ 4mm이고, 몸은 양 측면으로 납작하게 위축되어 있고 날개는 퇴화되어 없으며, 3쌍의 다리는 도약에 적합하도록 잘 발달되어 있다. 체색은 반투명 유백색, 또는 옅은 갈색입니다. 두부는 삼각형이고 뚜렷한 흑점의 눈과 촉각은 눈의 후방에 곤봉형으로 피부 안으로 함입되어 있다. 
  2. 유충 : 알에서 부화한 유충은 다리가 없고 13절이며, 성숙한 유충은 길이가 4 ~ 10mm정도로 자라고 실을 뽑아 고치를 지어 그속에서 번데기가 된다. 

[벼룩의 생활사 및 습성]

  • 완전변태 : 알 - 유충 - 번데기 - 성충 과정을 거쳐서 성장합니다.
  • 생육온도 : 15 ~ 38℃ 온도에서 생육이 가능하며, 25 ~ 30℃에서 가장 활발합니다.
  • 수명 : 6 ~ 12 개월입니다. (종에 따라 2년간 생존)
  • 산란수 : 평생 약 300 ~ 1,000개의 알을 산란합니다.  (1회에 3~35개 산란) 
  • 산란장소 : 숙주의 둥우리와 주변 틈새에 산란한다.
  • 발육기간 : 알은 2~14일 사이 부화하며, 온도나 습도에 영향을 받을수 있습니다.유충기간은 보통 10~21일을 거치며 종에따라 200일을 경과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유충은 습도가 너무 높거나, 낮으면 쉽게 치사한다.번데기 기간은 7~14일이며, 유충이 실을 뽑아 2~3일 사이에 고치를 만든다.
  • 먹이원 : 성충은 암수 모두가 흡혈을 하고, 유충은 서식처 주변의 유기물 혹은 숙주의 배설물을 먹습니다.
  • 서식처 : 기생 숙주(사람,개,고양이, 쥐 등의 포유동물)

 

<벼룩의 제어방법>

벼룩은 숙주가 주변을 지나칠 때 도약에 의해 기생하게 되는데 약 20cm 정도 도약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숙주로 기생을 하게되면, 흡혈 당시는 사람이 직접 감지하지 못할 정도로 가벼우나 흡혈 후 가려움증이 심하여 긁어 피부손상을 일으킬 정도로 사람에 적지 않은 자극과 고통을 야기합니다. 사람을 흡혈하는 벼룩 종은 개벼룩, 고양이벼룩, 사람벼룩이 있고, 사람이 애완동물을 기르는 경우 벼룩이 기생하여 가끔 사람을 흡혈하게 된다. 사람은 주로 잠자는 동안 종아리, 발목 등을 물리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가려움증으로 피부 손상이 발생할 경우 이차적 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반려동물의 수가 증가하고, 특히 봄,가을은 외부 활동이 많은 계절에 벼룩에 흡혈당한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1. 친환경 방제방법 :  벼룩은 15℃ 이하의 조건에서는 2주면 박멸이 가능합니다. 겨울철 실내온도를 15℃ 이하의 조건으로 유지하면 쉽게 박멸이 가능하고,  겨울이 아닌 계절은 부분적인 방제만 가능 합니다. 주 서식처인 반려동물의 용품등을 세탁 및 청소하거나, 이불 및 침구류 등을 세탁하고 건조기를 사용하여 말려준다.
  2. 화학적 방제방법 : 기생하는 반려동물의 몸에 직접 살충제를 처리하는 방법으로는, 반려동물의 목 주변과, 배 주변 털 또는 입히는 외투에 1%의 퍼머스린(permethrin) 분제(가루형) 또는 기타 합성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 분제를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국외에서는 20% DDVP용액을 흡입 침투시킨 플라스틱 목걸이를 애완동물에 채워 주는 방법으로 1~2개월의 방제 효과를 지속할 수 있습니다. 방역용으로 허용된 살충제로 대체 이용하는 방법도 가능하며, 반려동물의 집이나 주변 틈새에 2주 간격으로 살충제를 잔류분무 하는 방법도 효과적이다. 벼룩에 노출될 수 있는 환경에서는 개인 방어용으로 디에칠톨루아마이드 등 기피제를 사용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오늘은 벼룩의 특징과 셀프 방역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