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반려동물에서 자주 보이는 진드기의 특징과 제어 방법을 포스팅하겠습니다.
참진드기(Tick)은 분류학적으로 거미강(Class Arachnida) - 진드기목(Order Acari) 에 속하며, 세계적으로 13 속 672종이 기록되고 있고 그중 한국에는 6속 25종이 기록되고 있습니다.
주로 온대지방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참진드기의 피해는 원천적으로 동물 간에 기생하므로서 질병 매개가 일어나고 있으나 사람에게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간혹 있습니다. 피해의 종류는 자흡에 의한 독성주입과 질병매개입니다.


[참진드기의 형태적 특징]
배 복면은 납작하고 둥근 모양이며, 크기는 종에 따라 다르지만 2 ~ 23mm의 길이고 수놈보다는 암놈이 일반적으로 크다. 의두는 앞쪽으로 뻗어 나와 위에서 볼 수 있다. 의두는 앞쪽으로 뻗어 나와 위에서 볼 수 있으며, 구하체는 한 쌍의 협각에 위치하고 찌르는데 적응된 이가 있다. 모든 참진드기는 순판을 가지고 있으며, 몸은 4쌍의 다리를 가지고 있고 끝에 1쌍의 발톱이 있다. 알은 둥근 모양이고 유충은 3쌍의 다리를 지니며, 크기는 0.5~1.5mm 이다 약충은 4쌍의 다리를 갖는다.
[참진드기의 생활사 및 습성]
- 불완전변태 : 알 - 약충 - 성충 과정을 거쳐서 성장합니다.
- 생육온도 : 넓은 범위의 온습도에 생존력이 강하지만, 매우 건조하거나 매우 습한곳에서는 생존하지 못합니다.
- 수명 : 최대 7년
- 산란수 : 평생 약 1,000 ~ 8,000개의 알을 산란합니다. 산란기간은 10일 ~ 5주까지 산란합니다.
- 산란장소 : 풀잎, 돌, 쓰레기 더미, 잡목 뿌리 등
- 발육기간 : 알은 10~20일 사이 부화하며, 다리가 3쌍인 유충이 되고, 유충은 풀이나 잡초의 상단부에 올라가 숙주가 지나갈때 올라타서 기생하며, 유충은 2~7일 동안 흡혈 후, 제 1숙주를 이탈하여 은신처에 3~6일 동안 소화 후 약충이 됩니다. 약충은 제 2숙주에 동일한 방법으로 올라타서 5~10일간 흡혈 하며, 다시 은신처에 3~4주 동안 소화 후 탈피한다. 성충이 된 개체는 1주일동안 활동을 하지 않고, 휴지기를 거쳐 제 3숙주에 올라타서 흡혈합니다.
- 먹이원 : 흡혈 (성충은 600mg정도)
- 서식처 : 기생 숙주(조류, 파충류, 포유류)
<참진드기의 제어방법>
참진드기는 숙주가 주변을 지나칠 때 털이나 몸에 붙어 기생하게 되는데, 반려동물을 데리고 외출을 하고나면, 붙어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람에게도 옮길수 있으며, 반려동물에서 사람으로 숙주의 이동이 대략 9~10일 정도면 가능 합니다. 최근에는 반려동물의 수가 증가하고, 특히 봄,가을은 외부 활동이 많은 계절에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 친환경 방제방법 : 반려동물에 기생하고있는 진드기를 핀셋같은 도구로 일일이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흡혈하지 않았거나, 탈피한지 얼마되지 않은 유충의 경우 상기 사진과같이 반투명한 상태로 보여져서 육안으로 보는게 쉽지 않습니다.
- 화학적 방제방법 : 예방하는 방법으로는 반려동물의 의복에 살충제를 흡입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피레스린이나 합성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를 적정량 의복에 침투시켜 부착을 못하게 막는 방법이 있습니다. 기생하고 있을경우는 클로르포름,에테르,에칠아세테이트,벤젠 등을 헝겊에 발라 가볍게 토닥거리면 숙주로부터 떨어져 나갑니다.
최근에는 목걸이형 기피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간편한 목걸이형 제품을 외출시에 꼭 사용하시고, 혹시라도 진드기를 붙어서 들어오면 쉽게 구할수 있는 아세톤을 이용하여 토닥거리면 모두 떨어집니다.
오늘은 진드기의 특징과 셀프 방역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Pest Control (셀프방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벌의 생활사, 습성, 피해, 방제방법 (2) | 2022.09.29 |
---|---|
좀벌레(Silverfish) 발생 원인과 셀프 방역 (3) | 2022.09.23 |
가을 모기 발생 원인과 셀프 방역 방법 (못들어오게 하는법) 생존온도 (2) | 2022.09.01 |
빈대(Bed Bug) 발생 원인과 방역 방법 없애는법 (1) | 2022.08.31 |
반려동물 벼룩 발생 원인과 셀프 방역 없애는법 (0) | 2022.08.30 |